檜山黃氏南窩公派行列表
세 | 항렬자 | 사용가능자 | 오행 | 세 | 항렬자 | 사용가능자 | 오행 |
18 | ○烈 | 熙○ | 火 | 30 | 鎬○ | 鉉銖 | 金 |
19 | ○周 | 土 | 31 | ○澈 | 浩洪泰 | 水 | |
20 | 祐○ | 金 | 32 | 相○ | 東秉榮 | 木 | |
21 | ○益 | 水 | 33 | ○烈 | 烈熹薰 | 火 | |
22 | 甲○ | 寅 | 木 | 34 | 在○ | 培圭埈 | 土 |
23 | ○煥 | 性炳 | 火 | 35 | ○欽 | 淑河永 | 金 |
24 | 敎○ | 喆增 | 土 | 36 | 泰○ | 權桓裁 | 水 |
25 | ○鎭 | 錫鐘 | 金 | 37 | ○杓 | 木 | |
26 | 淳○ | 源洙 | 水 | 38 | 大○ | 火 | |
27 | ○根 | 相植 | 木 | 39 | ○玉 | 土 | |
28 | 思○ | 熙炯炫 | 火 | ||||
29 | ○珪 | 坤在均 | 土 |
목(木), 화(火), 토(土), 금(金), 수(水) 다섯 글자를 五行이라고 합니다.
자신의 이름 가운데 글자가 나무 木 변을 사용했으면, 자식의 이름 끝 글자에 불 火 변을 쓰고, 손자는 가운데 글자에 흙 土 변, 증손자는 끝 글자에 쇠 金 변, 고손자는 가운데 글자에 물 水 변, 즉 가운데字, 끝字, 가운데字, 끝 字를 반복하는 항렬의 규칙에 따라 "木, 火, 土, 金, 水"(五行) 다섯 글자를 순서대로 변으로 사용하여 이름을 짓는다고 합니다.
항렬에 따라 이름을 지으려면 앞서 언급한 규칙을 꼭 지켜야 됩니다.